최근 포스트

All knowing oracle

3 분 소요

이 글은 테스트 검증에 대한 코드를 리뷰하면서 느꼈던 나의 생각을 정리한 글이다. 옳고 그름, 맞고 틀리고를 떠나 온전히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이런 고민을 했던 것을 기록하기 위함이니 혹시 다른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주시면 좋은 토의를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재고 이력관리와 일급 컬렉션

10 분 소요

이 글은 회사에서 재고 관리 서비스의 재고 이력관리 기능을 개발하면서 일급 컬렉션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일급 컬렉션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소개하는 글이다.

Entity와 Value Object

6 분 소요

객체지향언어로 개발을 하다보면 우리는 수많은 클래스를 생성하고 그 클래스를 사용한다. 도메인 주도 설계 책을 읽으면서 우리 만드는 클래스들이 어떤 책임을 가지냐에 따라서 역할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고 그중에서 이 글에서는 Entity와 Value Object에 대해서 ...

The review of reconciliation refactoring

4 분 소요

이 글은 내가 회사에서 대사 기능을 리펙토링하면서 배운것들을 동료들에게 공유하기 위해 정리했던 내용을 옮긴 글이다. 피쳐를 쳐내기 바쁘다는 핑계로 대대적인 리펙토링을 할 기회가 많지 않았는데 이번 리펙토링을 하면서 크게 스프링의 빈을 정의하고 어떻게 주입하는 지에 대해 좀더 배울 ...

The review of sku service development

7 분 소요

이 글은 내가 회사에서 SKU 기능을 개발하면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동료들에게 공유하면서 정리했던 내용을 옮긴 글이다. 기능 개발을 맡게 되면서 평소 해보고 싶었던 것들을 도입해 보았고 그것을 해보면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다. 아직 갈길이 멀지만 개인적으로는 좋은 경험이...

Take advantage of Kotlin Fixture

4 분 소요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다보면 테스트 데이터를 필수적으로 수없이 생성해야 한다.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지루한 작업이다. 하지만 테스트 데이터를 어떻게 잘 작성하느냐에 따라서 테스트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지기도 나빠지기도 하며 중복되는 코드로 인해 테스트 코드의 ...

Defining JPA’s ID in Kotlin

1 분 소요

Kotlin으로 Spring Data JPA를 사용할 때 많은 고민을 하였다. Entity Class를 정의할 때 특히 그런데, Data Class를 사용할지 말지, val를 사용할지 var를 사용할지 말지 등등 항상 어떻게 하는게 좀더 의미있는지 고민이 된다. 이 글은 그중에서 ...